안녕하세요 1530입니다. 한국 증시 장 마감 후 주요 뉴스 및 시황을 정리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이시간 이후 주요 일정
주요국 증시 - 한국 일본 중국
개장후 주요 뉴스 정리
일일 증시 요약
일일 뉴스 요약
일일 지표 요약
정리하기
이시간 이후 주요 일정
2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확정치
미국 2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PMI 예비치
미국 1월 기존주택 판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주요국 증시 - 한국 일본 중국
◆ 한국 : KOSPI +0.02%, KOSDAQ +0.83%
코스피 강보합 코스닥 상승
철강 에크프로 상승 삼성생명 하락
삼성전자 -0.34%
SK하이닉스 -1.18%
LG에너지솔루션 +0.53%
삼성바이오로직스 +0.70%
현대차 +1.48%
원익홀딩스 +29.94%, TS트릴리온 +20.71%, 모티브링크 +19.25%, 동방메디컬 +10.89%, 에코프로 +6.16%, POSCO홀딩스 +5.03%, 포스코DX +4.77%, 현대로템 +4.60%, 삼성생명 -5.45%
코스피는 강보합으로 마감하였고, 코스닥은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철강 관련주와 에코프로가 상승하였고, 삼성생명이 하락하였습니다.
◆ 일본 : 니케이225 +0.26%
토요타자동차 -0.17%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 -1.17%
소니그룹 +2.17%
히타치 -2.87%
리쿠르트홀딩스 -2.09%
주가이제약 +4.47%
디엔에이 +13.89%, 닛산자동차 +9.47%, 리베라웨어 +4.14%, 크림슨 +4.08%, 미쓰비시자동차 +3.86%, 랜드 -12.50%, 와이하우두 -11.69%, 픽세라 -11.36%
◆ 중국 : 상해종합 +0.85% 심천종합 +1.56%
귀주모태주 +0.96%
중국공상은행 -2.12%
농업은행 -1.71%
페트로차이나 -0.25%
닝더스다이 +1.98%
중국전신 +9.97%
비야디 +5.57%
동방재부정보 +3.31%
망숙과기 +16.33%, 삼봉지능장비 +11.52%, 차이나유니콤 +10.00%, 금발과기 +8.33%, ST성성 +8.04%, 암산과기 +5.43%, 사천장흥전자 +5.00%, 승리정밀 +3.32%, 미년건강 -3.46%
주요 지표 확인
비트코인 9만 후반 $98521.92
환율 1430원대 1434.39원

개장후 주요 뉴스 정리
일일 증시 요약
- 한국 증시 KOSPI 보합 +0.02%, KOSDAQ 상승 +0.83%
코스피, 개인 기관 순매수, 외국인 순매도
코스닥, 외국인 순매수, 개인 기관 순매도
정부 중국산 철강 후판에 최대 38%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 추진 소식에 철강주 상승
코스피 강보합 코스닥 상승
철강 에코프로 상승 삼성생명 하락
- 일본 증시 강보합 니케이225 +0.26%
- 중국 증시 상승 상해종합 +0.85% 심천종합 +1.56%
일일 뉴스 요약
- 중국 한한령 해제 전망에 엔터주 가장 수혜 받을 것
대규모 K팝 공연과 MD 팝업스토어 오픈과 광고 재개에 따른 상승효과 유효
와이지, 하이브, CJENM 등
드라마 심의 시간필요, 면세점은 수익성 개선 여부가 중요
- 한국 2월 1~20일 수출액 전년비 16% 증가, 일평균 수출액은 2.7%감소(조업일수 올해 2.5일 많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 같은 기간 조업일수 2.5일 많아 일평균 수축액은 2.7% 감소
2023년 10월 부터 15개월 연속 대비 증가율 상승 후 1월부터 하락세
- 중국 기술주 주가 알리바바의 실적 호재 겹치며 상승
21일 현지시간 블름버그 통신 항생지수테크 5.49% 상승, 올해 30% 가량 상승
알리바바 BABA 13.8% 상승 2021년 11월 이후 3년만에 최고 수준 기록, 올해 67% 가량 상승
알리바바 4분기 매출 2천 801억여 위안 예상치 상회, AI모델 큐윈(Qwen)으로 시장에서 경쟁중, 항후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투자 늘리겠다고 밝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최근 이례적으로 기술 분야 민영기업들과 좌담회 개최, 마윈도 좌담회 참석 정부 기조 변화 기대감
- 아마존 매출 월마트 제치고 미국 기업 첫 1위 등극
아마존 AMZN, 월마트 WMT 매출 추월 1879억달러 1805억 달러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 아마존 웹서비스(AWS) 매출 전체 매출의 17% 차지 크게 성장
월마트 2012년 석유 기업 엑슨모빌을 제친 이후 아마존에게 추월당할 때까지 12년간 매출 1위
일일 지표 요약
비트코인 9만 후반 $98521.92
환율 1430원대 1434.39원
정리하기
코스피는 강보합으로 마감하였고, 코스닥은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철강 관련주와 에코프로가 상승하였고, 삼성생명이 하락하였습니다.
일본증시는 강보합 하였고, 중국 증시는 상승하였습니다. 중국 증시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9만달러 후반대로 상승추세에 있으며, 환율은 1434.39원으로 하락추세에 있습니다. 환율은 아직 높은 상태입니다.
한국 2월 1~20일 수출액은 전년비 16% 증가하였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2.7%감소하였습니다. (조업일수 올해 2.5일 많음), 1월부터 하락 전환하였는데 12.3 계엄과 트럼프 행정부 관세 영향으로 해석됩니다.
중국 기술주는 상승추세에 있으며, 어제는 알리바바의 호실적에 동반 상승하였습니다.
아마존의 월마트를 제치고 미국 매출 1위에 등극 하였습니다. 아마존이 미국 매출 1위를 한 것은 처음이며, 월마트의 12년 연속 1위를 제쳤습니다.
이시간 이후로 미국의 2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PMI 예비치 발표가 있습니다.
연준의 금리동결 가능성이 높아지고 주요 지표들이 불분명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상황에서, 발표될 PMI 예비치는 앞으로의 증시 향방에 중요한 척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