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늘의 사건사고

(289)
4.13 호헌 조치 4.13 호헌 조치4·13 호헌 조치(4·13 護憲 措置)는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대통령이 취한 조치입니다.​말 그대로 "현행 헌법을 유지한다"(보호한다, 수호한다, 지키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전두환은 이 조치를 통해 일체의 개헌 논의를 중단하려고 했지만 오히려 역풍을 불러일으켜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인 6월 항쟁이 발생하게 됩니다.4.13 호헌 조치 배경1980년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한 전두환 대통령은 제5공화국 헌법을 제정한 뒤 대통령에 취임했습니다.​이후 대통령의 임기 제한과 입법부의 권력 강화, 통금 해제 및 교복 자율화 등의 유화 조치를 취합니다.​그리고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올림픽을 유치하며 지지 기반을 공고히 닦았습니다.​그러나 정반대로 재야 인사들에 대한 강..
해주고 싶은 이야기 - 지브리 챗 GPT 그리고 미야자키 하야오 해주고 싶은 이야기 - 너에게 or 나에게요즈음 챗 GPT를 이용하여 지브리풍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본인이 그림을 그리지 못하더라도 챗 GPT에서 알아서 지브리풍으로 그림을 그려줍니다.요즘 지브리 프사를 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으며, 챗 GPT 가입자 이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과거 AI로 만든 작품을 본 지브리 수장 미야자키 하야오의 발언입니다. 영상 중간에 나오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눈빛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Ai 작품을 본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반응 Ai 작품을 본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반응  "누가 만들었든 고통을 전혀 모르는거 같네요.""매우 불쾌하죠""원한다면 끔찍한 것을 만들 수 있지만""이런 기술들은 저와는 아무 관련이 없을 것 같네요""..
해주고 싶은 이야기 - 사과할 용기 감사할 용기 해주고 싶은 이야기 - 너에게 or 나에게사과와 감사에 인색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사과와 감사를 하더라도 누구에게 무엇을 하는지 정확히 얘기 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왜 그럴까요?​아마도 사과와 감사를 하는 것이 부끄럽고 자존심이 상한다고 생각해서 일 것 입니다.​무수오지심비인야(無羞惡之心 非人也) 부끄러움을 모르면 사람이 아니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사과와 감사할 상황에 상대방에게 기꺼이 고개를 숙이는 것이 진짜 용기일 것이고 부끄러움을 아는 행동이지 않을까요.이상끝
인민혁명단 사건 인민혁명당 사건인민혁명당 사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사건은 크게 두 개의 사건이 있습니다.​하나는 1964년에 일어난 "인혁당 사건"이고 다른 하나는 1974년에 민청학련 사건과 관계되어 일어난 "인혁당 재건위" 사건입니다.​후자의 인혁당 재건위 사건은 사법살인으로도 유명합니다.​대한민국 정부가 무고한 사람들에게 고문을 한 것도 모자라 누명을 씌워 사법권으로 살인을 저지르며 유가족들까지 연좌제로 괴롭힌 사건입니다.인민혁명당 사건 1964년1964년 8월 14일 김형욱 중앙정보부장 등은 좌익 계열 정당인 인민혁명당(인혁당)이 "북괴의 지령을 받고 대규모적인 지하조직으로 국가를 변란하려던" 사건을 적발해 일당 57명 중 41명을 구속하고 나머지 16명을 전국에 수배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김형욱이 발표한 사..
1896 하계 올림픽 1896 하계 올림픽 1896년 하계 올림픽(영어: 1896 Summer Olympics, Games of the I Olympiad, 그리스어: Θερινοί Ολυμπιακοί Αγώνες 1896)은 393년을 마지막으로 끝난 고대 올림픽 대회 이후 열린 첫 근대 올림픽 대회입니다.​1896년 4월 6일부터 4월 15일까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되었습니다.​국제대회로의 올림픽에 대한 논의19세기에는 소규모 스포츠 행사가 유럽 전역에 걸쳐서 실시되었으며 고대 올림픽 이후로 이름이 붙여진 대회들이 생겨났습니다.​1870년 파나티네코 경기장에서 열린 올림픽에는 약 30,000명의 관중이 몰려들었습니다.​그 후로 몇 해 동안 이 관중수를 넘는 경기는 없었습니다.​윌리엄 페니 브룩스 박사는 전 세계의 국가가..
해주고 싶은 이야기 - 복기(復棋, Post Mortem) 해주고 싶은 이야기 - 너에게 or 나에게10살때 쯤으로 기억되는데 아버지로부터 바둑을 배웠습니다.​정석과 기본적인 용어를 배웠으나 어린 나이였고, 책을 보고 바둑판앞에 앉아서 바둑을 두는 것 보다 밖에 나가서 노는게 좋았던 시기라, 또한 아버지 역시 바쁘셨기 때문에 바둑을 두는 일은 점점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어른이 되고 나서, 방송에서 프로바둑 경기를 보게 되면서 다시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제는 바둑 경기를 즐겨 보고 있습니다. ​제가 웬만한 스포츠는 거의 다 좋아하는데 특별히 바둑을 좋아하는 이유는 복기때문일 것입니다. ​복기란, 바둑이나 장기 체스에서 대국이 끝난 뒤, 해당 대국의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두었던 순서대로 다시 두어보는 일을 말합니다. ​원래는 처음부터 순서대로 다시 두어보는 것..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2025년 4월 4일 11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2025년 4월 4일 11시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대심판정에서 읽은 선고 요지 지금부터 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를 시작하겠습니다.​먼저, 적법요건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➀ 이 사건 계엄 선포가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는지에 관하여 보겠습니다.​고위공직자의 헌법 및 법률 위반으로부터 헌법질서를 수호하고자 하는 탄핵심판의 취지 등을 고려하면, 이 사건 계엄 선포가 고도의 정치적 결단을 요하는 행위라 하더라도 그 헌법 및 법률 위반 여부를 심사할 수 있습니다.​➁ 국회 법사위의 조사 없이 이 사건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점에 대하여 보겠습니다.​헌법은 국회의 소추 절차를 입법에 맡기고 있고, 국회법은 법사위 조사 여부를 국회의 재량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제주 4.3 사건 제주4.3 사건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제주4·3사건"이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제주4·3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경찰·서북청년단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라고 정의할 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