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사건사고

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

율리우스 카이사르 기원전 46년 제정

기원전 45년 시행 양력 역법

1년 365일 4년마다 366일

현재 사용하는 양력의 기초

기원전 46년 이전까지 고대 로마에서는 태음력을 사용하였으며, 점차 계절 변화(즉, 태양의 일주)를 고려해 태음력과 태양력을 섞어서 년(年)과 월(月)을 계산하였습니다.

카이사르 내전 : 네이버 블로그

이에 따라 특히 달을 계산하는 데 적지 않은 혼란과 계산 착오가 생겼으며, 이러한 착오는 제사장이 임의로 수정하였습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채택한 달력은 태양력을 기준으로 2월을 제외한 달은 모두 30일 또는 31일로 정함으로써 이전에 있던 번거로움을 한꺼번에 해소하였습니다.

율리우스력은 4년마다 2월 29일을 추가하는 윤년을 두어 율리우스력에서 평균 한 해 길이는 365.25일입니다.

이는 365.2422일인 평균 태양년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서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났기 때문에, 1582년부터 더 정확한 그레고리력으로 점차 대체되었습니다.

현재(1901년 ~ 2100년) 그레고리력과 율리우스력 편차는 13일, 그레고리력 1월 14일은 율리우스력으로 1월 1일이 됩니다.

라틴어
기원전 46년 이전
기원전 45년 이후
1월
Ianuarius
29
31
2월
Februarius
28 (23/24)
28 (29)
3월
Martius
31
31
4월
Aprilis
29
30
5월
Maius
31
31
6월
Iunius
29
30
7월
Quintilis (Julius)
31
31
8월
Sextilis (Augustus)
29
31
9월
September
29
30
10월
October
31
31
11월
November
29
30
12월
December
29
31
-
Intercalaris
(27)
(폐지)

동방 정교회의 성탄절은 1월 7일 이다

 

그레고리력을 교회력으로 채택하고 있는 서방 교회(천주교와 개신교)와 달리 동방 교회 계열 특히 동방정교회는 일상 활동에서는 국가에서 정한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나, 예배와 예전을 명시한 교회력에서는 보편교회 시절부터 사용한 율리우스력을 따릅니다.

동방 정교회의 성탄절은 율리우스력 12월 25일로, 이는 그레고리력으로 환산 시 1월 7일로 책정됩니다.

출처 : 나무위키

동방정교회 성탄절

율리우스력 12월 25일

그레고리력 1월 7일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역법 개정

율리우스력과 천체운행과 불일치 간극 발생

20세기에 들어서 일반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양력

그레고리력(영어: Gregorian Calendar)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하는 태양력(太陽曆)으로, 1582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이전 율리우스력을 개정하여 시행한 역법을 말합니다.

율리우스력 계산법은 천체운행과 불일치함으로 간극이 발생했기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새로운 역법을 만들었습니다.

그레고리력은 달 운동과 관계없이 태양 운행만 기준으로 한 태양력의 한 종류로, 이 역법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일반화한 시기는 20세기입니다.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1582년에 그레고리력을 채택하였고, 대부분 개신교와 정교회 국가는 정치·종교적 이유로 말미암아 기존 율리우스력 사용을 고수했습니다.

영국은 1752년, 일본은 1873년, 러시아는 1918년에 그레고리력을 채택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은 조선 말기였던 1896년 1월 1일부터 그레고리력을 채택하였고, 서력기원(西曆紀元, AD)을 공식 연호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62년 1월 1일부터입니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태양력(양력)은 그레고리력입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6년에 제정한 율리우스력은 1년 평균 길이를 365.25일로 보고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윤년을 두었습니다.

이는 천문학에서 1 회귀년 365.2421일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서 128년마다 1일 편차가 발생합니다.

결국 이 편차가 1,250여 년 동안 누적되어 1582년에 이르자 부활절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춘분이 달력상 춘분인 3월 21일보다 10일 빨라지는 오차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율리우스력

1년 0.0078이 길어서 128년마다 1일 편차 발생

이 편차를 수정하기 위해서 그레고리력에서는 1582년 10월 중에 10일을 제거하고, 이후부터 400년에서 3일(세 번 윤년)을 없애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편차 수정 방법

율리우스력 + 이후 400년에서 3일(세번 윤년) 삭제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에서 교황에게 역법 개정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였습니다.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천문학자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역법을 제정한후,1582년 2월 24일에 칙령을 통해 이를 발표하여 역법 개정을 단행하였습니다.

개정한 달력은 그의 이름을 따서 그레고리력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달력 개정을 위한 교황의 칙서 : 출처 나무위키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582년 10월 5일(금)을 10월 15일(금)로 한다.(위에서 설명한 열흘의 편차를 제거함)

2. 종전과 같이 4의 배수인 해를 윤년으로 한다. 그러나 400년마다 3회만은 윤년을 두지 않아 오차를 보정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100으로 나눌 수 있지만 400으로 나뉘어 떨어지지 않는 해는 윤년을 두지 않는다.(400년에 97회의 윤년을 둠)

그레고리력은 1년을 365.2425일로 보아 율리우스력의 400년에서 3일을 빼야 했고, 이를 위해 400년에서 3번의 윤년을 평년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썼습니다.

즉, 율리우스력에서 4년마다 발생하는 윤년 중에서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수정을 하되(400년의 일수가 4일 감소), 다만 그 중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여전히 윤년으로 두었습니다.

예를 들어, 1700년, 1800년, 1900년, 2100년, 2200년, 2300년은 평년으로 변경이 되어 윤년에 해당되지 않지만, 1600년, 2000년, 2400년은 여전히 윤년으로 됩니다.

이로써 400년의 일수가 율리우스력에 비하여 3일 감소하여 1년의 평균 일수가 종전의 365.25일로부터 365.2425일로 단축 되고, 이는 평균 태양년 365.2422일에 더욱 근접하는 값으로 천문학의 회귀년보다 0.0003일(26초)이 길고 약 3,300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납니다.

한국의 양력 사용

조선 초에는 고려 공민왕 때 명나라에서 가져온 대통력(大統曆)을 사용하다가, 세종 때에는 회회력을 바탕으로 개정된 태음태양력을 사용하였습니다.

병자호란(1636)으로 청나라에서 볼모생활을 하던 소현세자가 귀국할 때 여러 가지 서양 문물을 가져오면서 조선에도 역법 개정의 기운이 무르익었습니다.

1645년(인조 23년) 관상감 제조(提調)로 있던 김육이 상소하여 시헌력의 채용을 주장하였습니다.

인조의 승인하에 청나라의 예수회 신부 아담 샬이 서양역법을 적용하여 만든 시헌역법을 10여 년 동안 연구하였고, 1653년(효종 4년)에 시헌력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7요일제를 쓰기 시작한 것은 1895년 4월부터였습니다.

이전에는 매월 1일, 7일, 15일, 23일, 절기가 드는 날(입춘, 경칩 등)은 정기휴일이었습니다.

국정 공휴일은 설날 7일, 대보름과 단오 그리고 연등회에 각각 3일, 추석에는 하루였습니다.

또한 정월에 자일(子日)과 오일(午日)에 쉬었으며 일식과 월식이 있으면 그날은 부정을 탄다 하여 공무를 보지 않았습니다.

19세기 말이 되자 당시의 국제정세의 흐름상 태양력을 쓰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1895년 김홍집 내각에 의해서 갑오개혁 차원에서 그레고리력 채택을 추진하여 1895년 9월 9일자 《관보》에 태양력을 사용하라는 조칙을 실었습니다.

또한 고종은 김홍집의 의견을 받아들여 음력 1895년 11월 15일에 공식적으로 개력을 반포하였습니다.

이로써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여 양력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조선 김홍집 내각 갑오개혁

그레고리력 채택

음력 1895년 11월 17일

양력 1896년 1월 1일 사용

광무, 단기 등 연호 사용

태양력을 사용하게 되면서 그에 따른 업무를 관할한 곳은 관상감의 후신인 관상소였습니다.

관상소에서 새로운 책력을 배포하였으나 갑작스런 양력의 사용은 백성들뿐만 아니라 행사가 많았던 궁궐에서 조차 매우 혼란스러웠습니다.

음력을 참고하여 농사를 짓던 농촌의 촌로들은 크게 반발하며 책력을 내던지기도 했습니다.

태양력 채택을 기념하며 연호를 건양(建陽)으로 변경하였을뿐 서력기원(西曆紀元, AD), 즉 예수가 태어난 해를 원년으로 하는 기년법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광무(光武), 단기(檀紀) 등의 연호를 사용하다가 광복직후 미군정시절 3년간 서력기원(AD)을 사용했으나 1948년에 폐지되었습니다.

서력기원(AD)을 다시 도입한 시기는 1962년 1월 1일부터이며 현재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년법 서력기원(AD) 사용

미군정 3년 후 폐지

1962년 1월 1일 재도입 현재까지 사용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공용(公用)으로 양력을 사용하고 있으나 민간에서는 여전히 음력을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인 생일이나 과거에 한때 3대명절로 분류되었던 단오절 행사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물론 정부에서도 설날, 추석, 석가탄신일 등 전통 명절에 따른 법정공휴일은 음력을 살펴 지정하고 있으나 그 밖에 삼일절, 광복절, 한글날 등 국경일과 기념일 등은 양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상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