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530입니다. 한국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인하를 결정하였습니다. 연 3.00% 에서 2.75%로 인하한 가운데 금융통화위원회의 결정문과 뉴스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금융 통화위원회 금리인하 결정, 연 3.00%에서 연 2.75%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인하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해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세계경제, "미국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성장의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물가경로의 불확실성도 높아졌다."
국제금융시장, "미 신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미 달러화 강세 흐름이 일부 되돌려지고, 주요국의 장기 국채금리는 하락하였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 시장은 미국의 관세정책의 추진방향,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경제,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확대, 기상여간 악화 등으로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약화되었다" "국내고용은 주요 업종의 취업자수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둔화 흐름을 지속하였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경제심리 위축,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내수 회복세와 수출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금년 성장률 지난 11월 전망치 1.9%를 큰폭으로 하회하는 1.5%로 전망된다. 향후 성장경로는 주요국 통화정책과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국내 정치 상황 변화 및 정부의 경기부양책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물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1월 중 2.2%로 높아졌으나 근원물가 상승률(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1.9%로 안정세를 이어갔다.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월 중 2.7%로 소폭 하락.
"물가상승률은 환율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낮은 수요압력 등의 영향으로 2% 내외 안정적인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전망 1.9%에 부합하는 1.9%로 전망되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 1.9%를 소폭 하회하는 1.8%로 예상된다."
"향후 물가경로는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흐름,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 외환시장, "원 달러 환율이 국내 정치 불확실성, 미국의 관세정책 및 연준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에 영향받으며 높은 변동성을 이어가다 하락하였다. 장기 국고채금리는 국내외 금리인하 기대에 주로 영향받아 하락 후 반등하였다. 주택가격은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 하였고, 가계대출 증가규모도 둔화 추세를 이어갔다"

통화정책방향 회의 결정문 전문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 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의 3.00% 수준에서 2.75%로 하향 조정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외환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세계경제는 미국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성장의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물가경로의 불확실성도 높아졌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그간 크게 확대되었던 미 신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미 달러화 강세 흐름이 일부 되돌려지고 주요국의 장기 국채금리는 하락하였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미국의 관세정책 추진 상황,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제상황을 보면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확대,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약화되었다. 고용은 주요 업종의 취업자수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둔화 흐름을 지속하였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경제심리 위축,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내수 회복세와 수출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금년 성장률은 지난 11월 전망치(1.9%)를 큰 폭 하회하는 1.5%로 전망된다. 향후 성장경로에는 주요국 통상정책과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국내 정치 상황 변화 및 정부의 경기부양책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1월 중 2.2%로 높아졌으나 근원물가 상승률(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1.9%로 안정세를 이어갔다.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월 중 2.7%로 소폭 하락하였다.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환율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낮은 수요압력 등의 영향으로 2% 내외의 안정적인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전망(1.9%)에 부합하는 1.9%로 전망되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9%)를 소폭 하회하는 1.8%로 예상된다. 향후 물가경로는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흐름,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국내 정치 불확실성, 미국의 관세정책 및 연준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에 영향받으며 높은 변동성을 이어가다 하락하였다. 장기 국고채금리는 국내외 금리인하 기대에 주로 영향받아 하락 후 반등하였다. 주택가격은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하였고 가계대출 증가규모도 둔화 추세를 이어갔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는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낮은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가계부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금리하락 기조로 인한 재확대 가능성과 높은 환율 변동성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통화정책은 대내외 경제정책 및 국내 정치 상황의 변화, 그간의 금리 인하가 물가, 성장 및 금융안정 상황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앞으로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다.
정리하기
국내경제는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낮은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가계부채는 둔하 추세이지만 금리인하 기조로 인해 재확대 가능성과 높은 환율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향후 통화정책은 대내외 경제정책 및 국내 정치 상황의 변화, 그간의 금리 인하와 물가, 성장 및 금융안정 상황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앞으로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입니다.

이상끝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 개장후 요약, 韓 日 中 증시 하락, 韓 금리인하 2.75%로, 韓성장률 1.9%->1.5%로 전망, 비트코인 $9만↓, 尹 탄핵심판 최후변론, 환율 1430원대 (0) | 2025.02.25 |
---|---|
독일 연방의회 총선거 중도보수당 승리 3년만 정권교체 예고(2025년 2월 23일 현지시간) (0) | 2025.02.25 |
뉴스 개장전 요약, 韓금통위 금리결정 예정, PHLX 반도체지수 하락, VIX 공포지수 상승, 주요지표 변동성 확대, 유가$70↑환율1428 (0) | 2025.02.25 |
니콜라 - 첫사랑 재회(7) 모니터링하기 (0) | 2025.02.25 |
뉴스 개장후 요약, 반도체 방산 하락, 2차전지 해운 상승, 위너스 상장 300%, 상법개정안 소위 통과, 환율 1420원대 하락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