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도끼 만행사건
1976년 당시 공동경비구역 지도와 판문점의 미루나무를 벌목하는 미육군 공병대, 자료출처 : 나무위키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인근 공동경비구역 내 돌아오지 않는 다리 인근에서 조선인민군 군인 30여명이 도끼를 휘둘러 미루나무 벌목 작업을 지도하던 주한미군 장교 2명을 살해하고 주한 미군 및 대한민국 국군 병력 절대다수에게 피해를 입힌 사건으로, 판문점 사건,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8.18 도끼 만행 등으로 불립니다.
북한이 도끼만행 사건을 일으킨 핵심적인 대외적 동기는 '주한미군 철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한 것입니다. 북한은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즉, 평화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유엔군 사령부의 존재 명분을 제거하여 유엔군 사령부의 해체를 실현하고 주한미군의 철수를 기대하는 것이었습니다.
북한의 대내적 동기는 긴장상태 조성으로 경제난으로 인한 내부 불만을 무마하고, 김정일 세습에 따른 내부 권력투쟁을 수습하려는 것이었습니다.
판문점 도끼 만행사건의 전개 과정
문제의 미루나무는 당시 공동경비구역에서 25년생 15m 높이의 나무로서 대한민국과 북한 양측의 상대방을 감시하기 위한 시계확보에 지장을 주고 있었습니다.
유엔군 측 주한 미국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안의 제5관측소에서 제3초소와 비무장지대를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으나 북한 3개 초소에 둘러싸인 제3초소 부근에 미루나무 가지가 무성하게 자라있어 이를 제대로 관측할 수 없었습니다.
1976년 8월 18일 오전 10시경 주한 미군 경비중대장 아서 조지 보니파스 대위를 위시하여 소대장 마크 토머스 배럿 중위 등 2명과 부사관과 병 4명, 대한민국 국군 장교 1명과 부사관과 병 4명 등 11명은 판문점 공동경부구역 안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 남쪽 유엔군측 제3초소 부근에서 시야를 가린 미루나무의 전지작업을 하는 대한민국 노무자 5명의 작업을 감독, 경비하고 있었습니다.
그 때 조선인민군 박철 중위와 다른 장교 1명, 그리고 15명의 부사관과 병이 나타나 작업 중지를 요구하였지만 미루나무의 위치가 유엔군 측의 관할에 속했기에 보수작업을 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보니파스 대위는 경비중대장 직권으로 작업을 계속 지시하였습니다.
인근 초소의 인민군 부사관과 병 20여명은 경비 병력을 요청받아 트럭을 이용하여 도착했고 박철 중위의 작업 중지 재요구를 보니파스 대위가 거부하자 박철의 공격명령에 따라 인민군 부사관과 병들은 트럭에 실어 가지고 온 곡괭이, 몽둥이와 함께 노동자들이 작업에 쓰려고 가져왔던 도끼 등을 빼앗아 휘드르며 기습하였습니다.
이들은 유엔군측 지휘관과 장병들에게 집중 공격을 가하여 경비중대장 아서 보니파스 대위와 마크 배럿 중위가 이마에 중상을 입고 이송 중 사망했고 주한 미군 부산관과 병 4명, 국군 장교와 부사관과 병 4명 등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유엔사 제3초소가 완전히 부서졌고, 유엔군 트럭 3대가 파손되었습니다.
대한민국과 미국의 대응
사건이 발생하자 미국 백악관에서는 워싱턴 특별 대책반이 소집되었으며, 미국 국무부와 함께 "이 사건의 결과로 빚어지는 어떠한 사태에 대해서도 그 책임은 북한에 있다"는 공동성명을 당일에 발표하였습니다.
폴 버니언 작전
제럴드 포드 미국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리처드 스틸웰 주한미군 사령관은 문제의 미루나무를 베고 공동경비구역 내에 조선인민군이 설치한 불법 방벽을 제거하기 위해 폴 버니언 작전을 기본으로 F-4, F-111, B-52 폭격기, 미드웨이 항공모함 등을 동원하는 대규모 무력 시위 계획을 수립하였고, 전투준비태세인 데프콘 3이 발령되었습니다.
대한민국 특전사 64인 투입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육군 특수전사령부 제1공수특전여단 김종헌 소형을 지휘관으로 하고 64인의 특전사 대원들로 구성된 결사대가 편성되어 보복작전이 실시되었습니다.
M16소총, 수류탄, 크레모아 등을 트럭에 숨기고 카투사로 위장한 64명의 특전사 요원들은 공동경비구역 내에서의 폴 버니언 작전에 투입되어 조선인민군 초소 4개를 파괴하였습니다.
조선인민군은 이에 대응하지 않고 물러나면서 더 이상의 무력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폴 버니언 작전 이후
북한은 긴급 수석대표회의를 요청하여 주석 직에 있던 김일성의 '유감성명'을 전달했고, 처음에 미국은 북한의 유감성명이 잘못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며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다가 24시간 만에 태도를 바꿔 이를 수락하였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1년 반 동안이나 준전시상태를 풀지 않았고, 대한민국도 북한을 강력하게 비판하는 등 사건의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으며, 이후 사건 당사자인 미국이 빠진 상태에서 대한민국과 북한 간의 군사적 긴장상태가 지속되었습니다.
그 후 판문점 내의 공동경비구역에서도 경계가 설정되었고 경계 밖 상대 지역에 존재하던 초소는 철수되었으며, 콘크리트 단으로 경계를 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사건 10주년인 1986년 8월 18일 근처에 있던 캠프 키티호크가 사망한 보니파스 대위를 기려 캠프 보니파스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이상끝
'오늘의 사건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5월 MSCI편입,편출 성적표 (0) | 2024.08.19 |
---|---|
블로그 구독 1500명, 블로그 성장일지(2024.08.19) (0) | 2024.08.19 |
T4작전 - 나치 독일의 우생학에 기반한 장애인 안락사 정책 (0) | 2024.08.19 |
동물농장 (0) | 2024.08.17 |
주간레이스, 2024년 8월 2주 한국(한국전체, 시가총액, 거래량, 등락률 상(하)위) (0)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