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사건사고

장사 상륙 작전

장사 상륙작전

장사 상륙작전(長沙上陸作戰), 장사동 상륙 작전(長沙洞上陸作戰) 또는 장사동 전투(長沙洞戰鬪)은 1950년 9월 15일부터 9월 19일까지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 일대 북한군 점령지역에서 벌어진 상륙작전을 포함을 전투를 말합니다.

장사 상륙작전 개시 당시의 전황, 출처 : 나무위키

당시 장사 상륙 작전의 작전계획서인 '작전명령 제174호'에 따르면 인천 상륙 작전에 맞추어 9월 15일부터 시작하는 유엔군의 낙동강 전선 돌파 공격을 위해 북한군의 보급로 차단을 통한 후방 교란이 공식적인 주목적이었습니다.

간접적으로는 인천 상륙 작전을 위한 북한군의 주의 분산을 위한 목적도 있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독립 제1유격대대(대대장 이명흠 대위) 772명이 참여하였고, 학도병과 이들을 지쥐하는 육군 장교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중 139명이 전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장사 상륙작전의 전개 과정

 

유엔군은 인천 상륙작전 2일 전인 1950년 9월 13일에 서해안 군산 기습작전을 결행하였고, 북한군 해안 방어부대의 공격을 받아 곧장 퇴각하였습니다.

미군은 제 8군 소속의 레인저 중대를 동해안 작전에 투입시키려 하였으나, 실전 투입 부적합하였고, 유엔군은 영덕-포항 등 동해안 전선을 담당한 국군 제3사단에게 상륙 작전을 벌일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당시 제3사단은 북한 제5사단의 압박에 의해 작전 수행이 불가능 했고, 이때 독립 제1유격대대를 활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당시 독립 제1유격대대는 편성된지 1달이 되지도 않은 상화이라 대대장 이명흠 대위는 부대의 상륙작전은 무모하다고 항변하였으나, 상관이 무조건 실행을 명령하였습니다.

육군은 작정명령 제174호로 출동을 정식 명력하였습니다.

1950년 9월 14일 부산항을 출발한 이후, 9월 15일 새벽 5시경 북한군의 공격으로 부대 수송을 맡은 LST 문산호가 좌초되고 난관에 빠졌으나, 9월 15일 09:00에 전 대개가 상륙하여 작전이 게시되었습니다.

학도병 및 이들을 지휘하는 육군 장교들로 구성된 총 772명의 독립 제1유격대대는 북한군 제2군단의 주 보급로인 국도 제7호선을 봉쇄하고 9월 19일 구조작전이 진행되어 철수할 때까지 4일 넘게 방어를 지속하였습니다.

원래는 제8군의 임무였으나, 유엔군의 상륙 지점 교란을 위해 인민군 복장을 입고 특수 작전을 해야 하는 사정상 북한군과 외모가 비슷한 남한 출신 학생들인 학도병에게 작전명 174를 맡겼습니다.

부대는 3일간의 물자만 보급받아 9월 14일 2시에 장사리 해안에 상륙하여 교론할 때 다쓰고 철수할 예정이었으나, 태풍 케지아로 인해 LST 문산호가 좌초되는 바람에 작전 계획이 뒤틀려 버렸습니다.

역사 강사 최태성이 말하는 장사상륙작전의 어린 영웅들 | 이제 만나러 갑니다 497 회 | 이제 만나러 갑니다 다시보기 (youtube.com)

 

발이 묶인 독립 제1유격대대는 물자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7번 국도 차단 임무를 계속 수행하였습니다.

인천 상륙 작전이 성공한 뒤, 9월 19일에 유엔군 정찰기에 포착되었고, 해안선을 따라 항행하던 미국 제7함대 테스크 포스 77 소속 USS 헬레나 CA-75가 이끄는 포격임무대의 엄호를 받으며, LST 조치원호를 타고 철수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39명 정도가 마지막 철수 과정을 엄호하면서 남겨졌다고 알려져 있으나 생사는 알 수 없습니다.

작전의 결과로 독립 제1유격대대의 139명이 전사하고 92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LST문산호는 좌초된 채로 버려졌고, 시간이 지나 1997년 3월 6일 발견되어 인양 되었습니다.

인천상륙작전 성공의 밑거름 장사상륙작전 (youtube.com)

 
 

독립 제1유격대대가 당시에 처한 상황

장사 상륙 작전에 투입된 독립 제1유격대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독립 제1유격대대는 학도병으로 구성된 대대로, 현재 기준으로 보면 전쟁범죄에 해당됩니다.

부대원의 대부분은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구성된 학도병으로, 훈련기간은 고작 2주에 불과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적으로 엄청나게 우세한 전차와 포병의 지원을 받는 조선인민군 정예부대를 상대로 며칠간 혈전을 벌였습니다.

지급된 무기와 전투복은 전쟁중 노획된 물자로 지급되는 등 국군으로부터 제대로된 지원을 받지 못하였습니다.

부대의 유일한 지원장비는 LST문산호 하나로, 유사시 지원대책에 대한 사전 준비가 사실상 전무하였습니다.

작전 투입시 단 3일간 만의 전투물자만이 지급되어 교전사태가 벌어지자 식량과 탄약이 모자르게 되었으나, 이 상황에서 4일간 버티게 됩니다.

해당 작전이 끝나고 서울을 탈환한 되 북진작전이 시작된 시점인 1950년 10월 5일에서야 부대원들에게 입대명령과 036군번이 내려졌습니다.

이는 그때까지 법적으로는 군번도 없이 민간인으로 싸운 것임을 말해줍니다.

이후 1950년 12월 19일 자로 서울에서 부대가 해체되고 일부 인원은 장교 지원, 대부분은 사병으로 2사단 32연대에 편입되었습니다.

장사 상륙 작전 기념관

작전이 있었던 영덕 남정명 장사해수욕장 한켠에는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과 전승기념공원이 세워져 있습니다.

2012년 부터 건축을 시작하여 상륙 부대원들이 탑승했던 LST 문산호를 재현하여 길이 90m, 폭 30m, 지상 5층의 규모로 만들어 졌습니다.

당초에는 2020년 9월 14일 장사 상륙작전 70주년 기념식 때 준공식을 열 계획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연기된 끝에 2020년 11월 16일 준공식이 거행되었습니다.

2018년에는 동해선 장사역이 개통되어 동해안을 낀 휴양 관광지가 되었습니다.

 
장사상륙작전전승기념관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동해대로 3560

이상 끝